Stefan Neubert

지휘자

© Honk Foto

프로필

슈테판 노이베르트(Stefan Neubert)는 첫 상임직인 2006년 데사우 안할트 극장(Anhaltisches Theater Dessau)과 2012년 바덴 주립극장(Badisches Staatstheater Karlsruhe)을 거쳐 2015년부터 자를란트 주립극장(Saarländisches Staatstheater Saarbrücken)에 소속되어 있으며, 수석지휘자로서 클래식 오페라, 오페레타, 뮤지컬, 발레에 오케스트라,협연 이르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구축해왔다.

그가 지휘한 주요 오페라 작품으로는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 라인의 황금(Das Rheingold), 발퀴레(Die Walküre), 장미의 기사(Der Rosenkavalier), 아이다(Aida), 투란도트(Turandot) 및 오를레앙의 처녀(The Maid of Orleans) 등 이다.

특히, 구스타브 홀스트(Gustav Holst)의 시타(Sita)와 사라 넴초프(Sarah Nemtsov)의 오필리아(Ophelia) 세계초연을 지휘하며,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치며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뜨거운 호평을 받았다.

또 그는박쥐(Die Fledermaus),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 스위니 토드(Sweeney Todd), 미셸 르그랑(Michel Legrand)의 마르그리트(Marguerite)의 독일 초연, 그리고 개빈 브라이어스(Gavin Bryars)의 마릴린 포에버(Marilyn Forever) 등의 오페라테,뮤지컬과, 잠자는 숲속의 미녀(The Sleeping Beauty),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베토벤의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Die Geschöpfe des Prometheus) 등 여러 발레분야에서도 음악적 역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특히,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은 2020년 베토벤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Arte TV를 통해 전 유럽으로 방송되었다.

슈테판 노이베르트는 그외에도 자를란트 주립오케스트라의 신년 음악회를 여러 차례 이끌며 호평을 받았고, 2023/24 시즌에는 클라겐푸르트 시립극장(Stadttheater Klagenfurt)에서 푸치니의 마농 레스코(Manon Lescaut) 신작 프로덕션을 총지휘했으며, 그 외에도 도이치 방송 오케스트라 (Deutsche Radiophilharmonie Saarbrücken Kaiserslautern), 할레 국립극장 오케스트라(Staatskapelle Halle), 슈투트가르트 필하모닉(Stuttgarter Philharmoniker), 바덴바덴 필하모니(Philharmonie Baden-Baden), 뷔르템베르크 실내 오케스트라(Württembergisches Kammerorchester Heilbronn), 룩셈부르크 필하모닉(Orchestre Philharmonique Luxembourg), MAV Orchestra Budapest: MAV 오케스트라 부다페스트 등 유럽전역에서 또한 활발한 지휘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대구오페라 페스티벌, 2023년 한국에서 성남시립교향악단(Seongnam Philharmonic Orchestra) 및 경북도립교향악단(Gyeongbuk Philharmonic Orchestra)을 지휘하며 세계적으로도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슈테판 노이베르트는 할레의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음악원(Georg-Friedrich-Händel-Konservatorium)과 시립소년합창단(Stadtsingechor)에서 음악 교육을 시작했으며, 이후 드레스덴과 칼스루에 음악대학에서 지휘, 피아노 및 즉흥 연주를 전공했다. 그의 지휘는 계속해서 요르마 파눌라(Jorma Panula), 파보 예르비(Paavo Järvi), 네메 예르비(Neeme Järvi) 등 저명한 스승들과의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더욱 성장하였다. 2002년에는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장학생으로 선정되면서 두각을 나타났다.

오케스트라

Seongnam Philharmonic Orchestra: 성남시립교향악단

Gyeongbuk Philharmonic Orchestra: 경북도립교향악단

Deutsche Radiophilharmonie Saarbrücken Kaiserslautern:

독일 방송 필하모니 자를브뤼켄 카이저슬라우테른

Badische Staatskapelle Karlsruhe: 바덴 주립극장 오케스트라 카를스루에

Stuttgarter Philharmoniker: 슈투트가르트 필하모닉

Saarländisches Staatsorchester: 자를란트 주립오케스트라

Staatskapelle Halle: 할레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Orchestre Philharmonique Luxembourg: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MAV Orchestra Budapest: MAV 오케스트라 부다페스트

Kärntner Symphonie Orchester: 케른텐 심포니 오케스트라

Anhaltische Philharmonie Dessau: 안할트 필하모니 데사우

Philharmonisches Orchester Regensburg: 레겐스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Philharmonie Baden-Baden: 바덴바덴 필하모닉

Südwestdeutsche Philharmonie Konstanz: 남서독일 필하모니 콘스탄츠

Württembergisches Kammerorchester Heilbronn:

뷔르템베르크 실내 오케스트라 하일브론

Kammerakademie Halle/Saale: 할레/잘레 실내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 Honk Foto

"그의 차이콥스키 해석은 단 한 소절도 감상적이거나 과도한 감정에 휘말리지 않는다. 악보의 윤곽과 날카로운 디테일이 우리 앞에 선명히 드러나 있다. 이는 지휘자로서의 대단한 업적이며, 긴장감 넘치는 연주를 선보인 자를란트 주립극장이 훌륭한 파트너로 함께했다."

오페른벨트 (Opernwelt, 2024년 6월호)

일정

2024년 12월

07.1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12.1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15.12. 18:0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17.1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20.1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21.12. 19:30 - 시타 / 구스타프 홀스트 / 자를란트 주립극장

26.12. 18:0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2025년 2월

08.0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15.02. 19:30 - 스위니 토드 / 손드하임 / 자를란트 주립극장

2025년 4월

18.04. 17:00 - 지크프리트 / 바그너 / 자를란트 주립극장

25.04. 19:30 - 콘서트 / 요세프 수크 / 자르브뤼켄 루트비히 교회

2025년 7월

05.07. 19:30 - 콘서트 / 모차르트 & 수크 / 성 아르누알 수도원 교회

모든 일정은 [여기](링크 추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를란트 주립오케스트라와 분석적 정밀함으로 음악의 흐름을 구성한 지휘자 슈테판 노이베르트가 선보인 고도로 집중된 연주."

오페른벨트 (Opernwelt, 2023년 7월호)

지휘한 오페라, 발레, 뮤지컬 목록

  • 베토벤: 프로메테우스 (Prometheus)

  • 번스타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 브라이어스: 마릴린 포에버 (Marilyn Forever)

  • 비제: 카르멘 (Carmen), 진주 조개잡이 (The Pearl Fishers)

  • 도니제티: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돈 파스콸레 (Don Pasquale)

  • 드보르자크: 루살카 (Rusalka)

  • 프리드: 안네 프랑크의 일기 (The Diary of Anne Frank)

  • 구노: 파우스트 (Faust)

  • 홀스트: 시타 (Sita) (세계 초연)

  • 야나체크: 교활한 작은 암여우 (The Cunning Little Vixen)

  • 칼만: 차르다시의 공주 (The Csárdás Princess)

  • 크라사: 브룬디바르 (Brundibar)

  • 르그랑: 마르그리트 (Marguerite) (독일 초연)

  • 로우: 마이 페어 레이디 (My Fair Lady)

  • 모차르트: 코지 판 투테 (Così fan tutte), 돈 조반니 (Don Giovanni), 피가로의 결혼 (The Marriage of Figaro), 마술피리 (The Magic Flute)

  • 넴초프: 오필리아 (Ophelia) (세계 초연)

  • 오펜바흐: 판타지오 (Fantasio)

  • 푸치니: 라 보엠 (La Bohème), 투란도트 (Turandot), 마농 레스코 (Manon Lescaut), 일 트리티코 (Il Trittico)

  • 라모: 플라테 (Platée)

  • 로이터: 오스카와 동전 일당 (Oskar und die Groschenbande)

  • 손드하임: 스위니 토드 (Sweeney Todd)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낙소스의 아리아드네 (Ariadne auf Naxos), 장미 기사 (The Knight of the Rose)

  • 요한 슈트라우스: 박쥐 (The Bat)

  • 설리번: 펜잰스의 해적 (The Pirates of Penzance)

  • 차이콥스키: 오를레앙의 처녀 (The Maid of Orléans), 잠자는 숲속의 미녀 (Sleeping Beauty), 호두까기 인형 (The Nutcracker)

  • 베르디: 운명의 힘 (The Force of Destiny), 아이다 (Aida), 일 트로바토레 (Il Trovatore), 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 나부코 (Nabucco), 시몬 보카네그라 (Simon Boccanegra), 가면 무도회 (A Masked Ball)

  •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Tristan and Isolde), 라인의 황금 (The Rhinegold), 발퀴레 (The Valkyrie), 지크프리트 (Siegfried)

  • 베버: 마탄의 사수 (The Freeshooter)

지휘한 콘서트 레퍼토리 목록 (선택)

  • 바르토크: 춤 모음곡 (Dance Suite), 놀라운 만다린 (The Miraculous Mandarin),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디베르티멘토 (Divertimento for String Orchestra)

  • 베토벤: 교향곡 제1번, 제2번, 제5번, 제6번, 레오노레 서곡 3번 (Leonore Overture No. 3 op. 72a)

  • 베를리오즈: 이탈리아의 해롤드 (Harold in Italy)

  • 브람스: 교향곡 제1번, 제2번, 제3번, 헝가리 춤곡 (Hungarian Dances), 피아노 협주곡 op. 83 (Piano Concerto op. 83)

  • 브리튼: 레퀴엠 교향곡 (Sinfonia da Requiem), 4개의 바다 간주곡 (Four Sea Interludes), 오케스트라 가이드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 쇼팽: 피아노 협주곡 op. 11 (Piano Concerto op. 11)

  • 드뷔시: 목신의 오후 전주곡 (Prelude to the Afternoon of a Faun), 클레어 드 룬 (Clair de Lune), 작은 모음곡 (Petite Suite), 성스러운 춤과 속된 춤 (Sacred and Profane Dances)

  • 드보르자크: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세레나데 op. 22 (Serenade for String Orchestra op. 22), 체코 모음곡 op. 39 (Czech Suite op. 39)

  • 에네스쿠: 루마니아 랩소디 1번 (Romanian Rhapsody No. 1)

  • 파야: 세 모퉁이 모자 모음곡 1번 (Three-Cornered Hat Suite No. 1)

  • 하이든: 교향곡 G장조 (옥스퍼드) (Symphony in G (Oxford))

  • 힌데미트: 백조의 터너 (The Swan-Turner)

  • 오네게르: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 2)

  • 코다이: 갈란타의 춤 (Dances of Galanta)

  • 리스트: 전주곡 (Les Préludes)

  • 말러: 죽음의 제전 (Totenfeier, Funeral Rites)

  •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op. 64 (Violin Concerto op. 64), 현악 교향곡 10번 (String Symphony No. 10)

  • 모차르트: 교향곡 제39번, 제40번, 제41번, 콘서트 아리아 KV 88 및 KV 528 (Concert Arias KV 88 and KV 528), 환희의 아리아 (Exsultate jubilate), 그란 파르티타 (Gran Partita), C단조 미사 KV 427 (Mass in C Minor KV 427)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제1번 (Symphony No. 1)

  • 라벨: 볼레로 (Bolero), 어미 거위 (Mother Goose)

  • 라우타바라: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디베르티멘토 (Divertimento for String Orchestra)

  • 로시니: 이탈리아 여인의 서곡 (Overture to L'italiana in Algeri)

  •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Carnival of the Animals), 바카날레 (Bacchanale)

  • 쇤베르크: 정화된 밤 (Transfigured Night)

  • 슈레커: 간주곡과 스케르초 op. 8 (Intermezzo and Scherzo op. 8)

  • 슈베르트: 죽음과 소녀 (Death and the Maiden) (오케스트라 버전), 이탈리아 스타일 서곡 op. 170 (Overture in the Italian Style op. 170)

  • 시벨리우스: 슬픈 왈츠 (Valse triste), 교향곡 제2번 (Symphony No. 2)

  • 스메타나: 몰다우 (The Moldau), 팔려간 신부 - 퓨리안트와 코미디언의 춤 (The Bartered Bride - Furiant and Dance of the Comedians)

  • 스텐함마르: 두 개의 감상적인 로망스 op. 28 (Two Sentimental Romances op. 28)

  • 스트라빈스키: 불새 모음곡 (1945) (Firebird Suite (1945)), 풀치넬라 (Pulcinella)

  • 요한 슈트라우스: 황제 왈츠 (Emperor Waltz), 박쥐와 집시 남작 서곡 (Overtures to The Bat and The Gypsy Baron)

  • 수크: 현악 세레나데 op. 6 (String Serenade op. 6)

  • 수페: 아름다운 갈라테아 서곡 (Overture to Die Schöne Galathee)

  •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4번 (Symphony No. 4), 백조의 호수 모음곡 (Swan Lake Suite)

  • 튀르: 등대 (Lighthouse)

  • 짐머만: 메타모르포시스 (Metamorphosis)

미디어

© Honk Foto

프레스 리뷰

"이번 세계 초연의 지휘자인 Stefan Neubert는 Saarländisches Staatsorchester와 함께 악보의 다층적인 특성을 드러냈습니다. 그의 지휘는 차분하고 깊이 있었습니다."

Das Opernglas (11/2024)

"오케스트라 구멍에서 지휘자 Stefan Neubert는 무척 부드러운 음향의 카펫을 무대로 보냈습니다. Hats off!"

Opus Kulturmagazin (07/2024)

"...Stefan Neubert의 오케스트라 지휘는 완벽했습니다: 지휘자는 이 악보에 천 가지 색깔로 찬란하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Poly Magazin (05/2024)

"국립 오케스트라의 지휘봉을 든 Stefan Neubert는 훌륭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는 영감을 주는 제스처로 풍성한 선율의 곡선을 만들었고, 그의 민첩한 지휘봉은 리듬감을 살렸습니다."

Saarbrücker Zeitung (01/2024)

"Saarländisches Staatsorchester와 지휘자 Stefan Neubert는 이 악보의 어려운 부분을 매우 능숙하게 해냈습니다."

Deutsche Bühne (05/2023)

"Stefan Neubert의 완벽한 지휘 아래 오케스트라는 Sarah Nemtsov의 복잡하고 다채로운 악보를 훌륭하게 소화했으며, 이 악단의 다재다능한 전문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Opus Online (05/2023)

연락처